top of page
검색
  • 작성자 사진병선 방

[기사]"‘심수관, 남원에서 시작된 430여 년의 여정’ 심포지엄 개최"

남원도예문화 예술 발전에 큰 공헌을 해온 심수관도예전시관이 어느덧 개관 12주년을 맞이하여 지난 24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남원심수관도예전시관을 기념한 최초 시도인 심포지엄은 ‘심수관, 남원에서 시작된 430여 년의 여정’이란 주제로 남원의 도자 역사와 문화 연구와 12대 심수관 도자기에 담긴 의미를 통해 심수관과 남원의 도자기의 위상을 재조명하는 담론의 장이 펼쳐졌다.



심포지엄 대표 학술연구자는 고려대학교 문화유산융합학부 교수 방병선은 오랜기간 일본 피랍 도공에 대한 연구와 한국미술사학회장 및 도자사 전문가로, ‘임란 전후 피랍 사기장에 관한 제문제’에 대해 발표했다.



방 교수 연구는 조선 사기장들의 납치 여부(납치된 것인지, 자진 혹은 강제로 이주한 것인지) 고향과 정착 후의 생활, 도자 제작 기술 전파, 작품 양식에 관련하여 전개하였고, 연구의 결론은 “조선 초기부터 조선 도자기, 특히 다완에 대한 기호와 욕망이 상당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솜씨 좋은 조선 공인들을 데려오라는 명령서 등을 통해 유추하건데, 조선 도공 납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본다” 또한 “조선 도공들이 도착한 규슈 일대 현에서는 이들을 자신들의 산업 경쟁력을 높여 줄 구세주로 생각하고 격리, 관리하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해 일본 내 장인 관리 체제와 도자 기호 변화에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본다” 고 발표하였다.



조선 초기 남원지역의 자기 생산과 면모와 특징을 발표한 명지대 교수 박정민은 과거 남원은 유구한 역사를 지는 고장으로 조선도자사에 있어 관요가 성립되기 이전 백자를 매년 공납했던 지역이라 평가하였다.



그 이유는 백자는 세종(1418-1450) 1430년 왕실은 일부 어기(御器)와 제기(祭器)를 사용하였고, 조선 전기문집 ‘점필재집’에 1440년대 남원, 고령, 경기도 광주가 백자를 매년 공납 기록에서 조선 초기 남원의 자기 제작에 있어서 중요한 특징이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앞으로 남원시가 해야 할 일에 대해 언급하기를 “왕정동 가마터를 비롯한 남원시 일대에 자리하는 조선시대 도자기 가마터들에 대한 구체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선시대 백자 문화의 상장과정에서 남원이 차지하는 위상을 보다 진일보하겠다. 또한 도요지 주변에 시민들이 거주하고 있어 유적이 지닌 고유성이나 역사성이 조금씩 사라져가고 있으므로 보고된 도요지를 중심으로 주변 일대에 대한 보호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했다.” 라고 말했다.



메이지시대 심수관요의 도자 기술혁신이 작품에 미친 영향과 후대 계승의 의미를 연구한 고려대 교수 김윤정은 지난 7월 심수관요를 방문하여 필요한 자료를 직접 받는 등 연구에 노력하여 심수관요가 지닌 학문적 성과를 내놓았다.



남원시 소장품 금수동방삭 입상(12대 심수관, 1880~1900년경)은 히네리모노 기법의 장식물로 표정과 수염 등을 정밀하게 조각하였으며, 제작법은 석고틀을 이용한 주입 성형으로 얼굴과 신체를 부분을 따로 제작하여 부착하였다.


이에 12대 심수관에 대한 1901년 요미우리 신문 기사에 따르면 “시간과 노력을 많이 들이는 지극히 세밀한 조각 기술”이라 하였고, 1904년 『내국권업 박람회 보고』에 “심수관이 창시한 독특한 기술은 다른 이는 따라올 수 없을 정도의 독보적이며, 세계적으로 크게 인정받았다.”고 평했다. 이로써 심수관요는 12대 심수관의 기술혁신이 각종 박람회, 공진회에 작품을 출품하여 수차례 수상하여 일본뿐 아니라 세계적인 위상을 입증하여 오늘에까지 이어온 도자업을 이룩해온 한 성과라 하였다.



이날 행사에 히오키시와 도자 발전을 위한 협약(MOU)을 맺은 후 첫 발걸음으로 히오키시 시장 추천 고고학자 ‘시모코마키 준’ 학예사가 특별히 초청되었다. 준상은 “일본에는 임진왜란, 사쓰마 도자기 전래와 조선 도공 납치 혹이 이주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앞으로 한일 도자사 연구에 두 도시가 협업한다면 도자 발전을 위한 시너지효과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종합토론에는 前국립전주박물관 김영원 관장과 광주여자대학교와 한일교류사를 연구한 정성일 교수, 남원문화원 김주완 원장, 남원 도예가 김현철 작가가 지정토론에 나섰다.



토론자 김주완 원장은 남원이 지닌 문화유산이 전북의 28%로 1위를 차지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많이 따른다며, 심수관뿐 아니라 이삼평(李參平, 이참평)의 고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도자기의 신 이삼평의 일본 이름은 가나가에 산베에(金ヶ江 三兵衛)로 남원시 대산면 금성리 금강(金堈)마을과 공주의 금강(錦江)의 한자 표기명이 다르다. 남원은 대산면 금강마을 내에 금강 도요지가 존재하였으며, 과거 금강(金江)의 한자 표기명은 전주이씨 족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방 교수는 남원 금강이란 존재 사실을 오늘 처음 알았으며, 앞으로 남원시 도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남원에서 300㎞ 떨어진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진행된 이 심포지엄은 남원시민들에게 국립중앙박물관의 선진지 관람과 남원심수관도예전시관 홍보 및 심수관의 명성을 널리 알리고자 한 노력에 힘입어 학술관계자와 고려대와 명지대학교 학생들 그리고 남원시 도예가와 시민들이 많이 참여하여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남원시 담당자는 “심포지엄을 통해 우리시가 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았다. 남원 도요지의 고고학적 연구와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치고 있는 심수관요에 제작 기술의 등의 작성된 자료 조사가 학술적 가치가 높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연구와 보존이 필요하여, 한일과의 도자 문화 교류 및 협업이 이뤄진다면 진일보한 경쟁력 있는 도자미술관 건립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남원=양준천 기자



출처 : 전북도민일보(http://www.domin.co.kr)

조회수 5회댓글 0개
bottom of page